top of page

아동 학대 예방의 날: 아이들의 웃음을 지켜주세요


매년 11월 19일은 법정 기념일인 '아동 학대 예방의 날'입니다. 아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환기하는 날입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 아동 학대는 여전히 일어나고 있으며, 그 심각성이 줄지 않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2023년 아동학대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발생한 아동학대 사례는 총 2만 2,106건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5.2%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동 학대로 인한 사망 사건은 44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매년 작은 차이만을 보이며 반복되고 있습니다.

아동 학대는 신체적인 폭력만 해당하지 않습니다.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욕설이나 협박을 하는 행위, 아이에게 죄책감을 심어주는 행위, 아이를 필요로 하는 곳에 데려가지 않고 방치하는 행위, 심지어 아이 앞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 또한 아동 학대입니다.

놀랍게도, 아동 학대는 대부분 부모에 의해 발생합니다. 2023년 학대 사건에서도 학대 행위자의 85.9%가 부모였으며, 학대 장소가 집 안인 경우 또한 82.9%에 달했습니다. 또한, 사망 아동 중 23명은 부모의 극단적 선택 직전에 살해된 피해자였습니다. 이는 과거 '동반 자살'로 불리던 행위로, 최근에는 명백한 범죄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동 학대는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로만 볼 수 없습니다. 이는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고,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사회 문제입니다. 아동 학대를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아동 학대가 범죄라는 인식을 확산하고, 부모는 물론 미래에 부모가 되고자 하는 많은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양육 방식에 관한 교육을 할 필요도 있습니다. 아동 학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주변에서 아동 학대가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아동 학대 신고는 전화 112번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부모, 교사, 아동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아동 학대 예방 교육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이자 희망입니다. 아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 「2023년 아동학대 연차보고서」, 보건복지부
- 「아빠 손에서 살아남은 날, 아이의 고통은 시작됐다」, 국민일보, 김유나 기자, 24/11/06

11월 3주차

11월 3주차

아동 학대 예방의 날: 아이들의 웃음을 지켜주세요


매년 11월 19일은 법정 기념일인 '아동 학대 예방의 날'입니다. 아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환기하는 날입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 아동 학대는 여전히 일어나고 있으며, 그 심각성이 줄지 않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2023년 아동학대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발생한 아동학대 사례는 총 2만 2,106건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5.2%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동 학대로 인한 사망 사건은 44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매년 작은 차이만을 보이며 반복되고 있습니다.

아동 학대는 신체적인 폭력만 해당하지 않습니다.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욕설이나 협박을 하는 행위, 아이에게 죄책감을 심어주는 행위, 아이를 필요로 하는 곳에 데려가지 않고 방치하는 행위, 심지어 아이 앞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 또한 아동 학대입니다.

놀랍게도, 아동 학대는 대부분 부모에 의해 발생합니다. 2023년 학대 사건에서도 학대 행위자의 85.9%가 부모였으며, 학대 장소가 집 안인 경우 또한 82.9%에 달했습니다. 또한, 사망 아동 중 23명은 부모의 극단적 선택 직전에 살해된 피해자였습니다. 이는 과거 '동반 자살'로 불리던 행위로, 최근에는 명백한 범죄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동 학대는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로만 볼 수 없습니다. 이는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고,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사회 문제입니다. 아동 학대를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아동 학대가 범죄라는 인식을 확산하고, 부모는 물론 미래에 부모가 되고자 하는 많은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양육 방식에 관한 교육을 할 필요도 있습니다. 아동 학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주변에서 아동 학대가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아동 학대 신고는 전화 112번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부모, 교사, 아동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아동 학대 예방 교육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이자 희망입니다. 아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 「2023년 아동학대 연차보고서」, 보건복지부
- 「아빠 손에서 살아남은 날, 아이의 고통은 시작됐다」, 국민일보, 김유나 기자, 24/11/06

댓글 (2)
20 nov. 2024

교육현장에 있다보면 학생들의 성격과 행동이 단순히 기질에서 비롯된 것만이 아닌 가정에서부터 오는 교육, 환경적 영향도 큰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정환경이나 가정교육이 중요할 것 같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다양한 부모교육이나 사회인식 개선 등 여러 해결방안이 필요할 것 같아요

좋아요

aaa
19 nov. 2024

아동 인구 수는 줄어드는데 아동 학대 건 수는 증가 추세라니 놀랍네요. 예전에는 훈육으로 간주하고 문제 삼지 않던 행위를 아동 학대로 인식하게 되어서 수치가 늘었을 수도 있지만요. 아동 학대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는 만큼 사회적 대응책과 처벌도 강화되면 좋겠습니다.

좋아요

(주)크레버스 

대표이사 이동훈,김형준ㅣ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1, 21층(삼성동, 파르나스타워)

사업자등록번호 211-87-16710ㅣ 통신판매업신고 제 강남-8282호ㅣ 대표전화 02-3429-9407

COPYRIGHT © CREVERSE INC. ALL RIGHTS RESERVED.

TC/루키 커뮤니티

TC 활동 공유 및 자유로운 소통 공간입니다. 

bottom of page